본문 바로가기
Journalism/나도 기자다

[생생정보] 서울시가 코로나 저소득층 재난지원금으로 30~50만원 지급한다네요

by Korean Daniel 2020. 3. 26.
반응형

출처: 서울시 홈페이지 캡처

[생생정보] 서울시가 코로나 저소득층 재난지원금으로 30~50만원 지급한다네요

 

지난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로 인해 전 세계가 확진자와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에서는 이를 재난상황으로 인식하고 저소득층에 재난지원금 30~50만원을 차등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관련해서는 서울시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어요.

 

이 몹쓸 바이러스 전염병이 하루 속히 물러갔으면 좋겠습니다. 이탈리아는 지금 사망자수가 급격히 올라서 중국 다음으로 많은 2위를 기록하고 있어요. 전 세계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고 정부가 나서서 강제로 집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상황에서 일하지 못하니 돈이 없는 상황이 생긴 것이죠. 한국에서도 재택근무나 무급휴가 등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분들이 돈이 없으니 많은 어려움이 있을 거예요.

 

한편으로는 4.15 총선을 앞두고 선심성 돈 뿌리기가 아닌가 하는 포퓰리즘이 의심되지만 당장에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필요한 자금일 것라고 생각이 되고 그 분들이 꼭 도움을 받아서 어려움을 겪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서울시청에서 공개한 관련 내용을 올려봅니다.

 

코로나19로 갑작스런 경제위기에 직면. 서울시는 직접 타격을 입은 시민들의 고통을 실질적으로 돕기 위해 ‘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대책’을 시행. 지원대상은 기존 지원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 근로자, 영세 자영업자, 아르바이트생, 프리랜서 등으로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가구원 수 별로 30만~50만원까지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로 지급합니다.

 

정리해보면, 코로나19로 인해서 생활비가 필요한 알바생, 영세자영업자, 프리랜서에게 가구원별로 30~50만원 상당의 지역상품권을 지급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돈은 아닌 거죠. 지역 상품권입니다. 언제부터냐 3월 31일부터라고 합니다.

 

중위소득이라고 하면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1인은 170만원 정도 이하, 2인은 290만원 정도 이하가 되는군요.

지원금액은 가구별로 1~2인 가구 30만원, 3~4인 가구 40만원, 5인 이상 가구 50만원으로 1회 지원한다고 합니다.

 

출처: 서울시 홈페이지 캡처

 

도움이 꼭 필요한 분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가기를 바랍니다.

 

근데 지역 상품권을 잘 이용할 수 있는 건지는 모르겠어요. 그래서 선심성 홍보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실질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분들은 생필품뿐만 아니라 부채 문제 등 재정적으로도 도움필요할 텐데, 그런 부분은 아니니까요

 

어쨌든 이 도움을 받게 되면 서울시가 이후에 조사도 한다고 합니다. 이후에 수익 조사를 해서 수익이 많이 나는데 이거를 신청하면 환수 조치를 실시한데요 환수는 또 상품권을 환수하는 것도 아닐 거고 그때는 돈으로 받는다고 하면 이건 완전 상품권 장사를 한 건 아닌지 의심이 가기도 해요. 상품권을 주면서 도움을 줬다고 홍보하고 조사해서 돈으로 되돌려는 그런 못된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니겠죠. 앞으로 지켜볼 일입니다. 

 

출처: 서울시 홈페이지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 책임인데요 그 책임을 한 종교단체에 뒤집어 씌우고 구상권 청구니 법인 취소니 이런 걸 하는 박원순 시장의 모습을 보면 이거 혜택을 받는다고 해서 다 좋은 건 아닐 것 같습니다 알바생이 나중에 취업을 하거나 그러면 혹시나 되돌려 받으려고 구상권 청구하는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언론은 와치독으로서 이런 부분을 면밀히 감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코로나 #마스크 800만 중국에 준 문 대통령님 되돌려 오세요 #박원순 시장, #이재명 경기지사 포퓰리즘은 아니길 바랍니다. #지역화폐로 주고 돈으로 환수받으려는 수작이 아니길 바랍니다 진정으로 #국민을 도와주셔야 합니다 #정치적으로 이용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정말

 

 

 

 

 

 

 

 

반응형

댓글